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 이거 모르면 하지마오!

2020. 7. 31. 15:40정보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 이거 모르면 하지마오!

 


올해는 특히 알바 주휴수당, 최저시급, 퇴직금 등 많은 변화가 있었던 해인데요. 그로인해 작년까지 알바를 하셨던 분들은 환영할 만한 일이긴 하지만 헷갈려 하시는 분들 또한 많습니다. 올해 최저시급이 8,590원으로 인상이 됨에 따라 시급에 주휴수당을 합치면 시간당 만원 꼴이 되는 셈인데요.

 

고용주 입장에서는 부담스럽게 느껴지실 수 있겠지만 알바를 하고 계시는 근로자 분들에겐 예년보다 조건이 많이 좋아져서 이젠 꾸준히 알바만 1~2개 해도 먹고사는데는 지장이 없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주휴수당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지급을 해야 하는데 1일로 계산하면 적은 돈이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1주, 1개월로 계산을 해본다면 받고 안받고의 차이는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정말 크답니다. 지금부터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부터 지급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알바 주휴수당 지급긴준을 살펴 보도록 할께요.

1) 하루 3시간 이상씩 주 15시간 이상 근무 했을 시 받을 수 있습니다.

> 단, 40시간을 초과근무 했을 경우 최대 40시간 까지만 받을 수 있습니다.

2) 근무하기로 계약한 날을 모두 출근해서 근무를 해야 하며 1일이라도 결근시 받을 수 없습니다.

> 단, 유급휴가, 공휴일, 고용주가 쉬라고 한 날도 주휴수당 받는 조건에 포함됩니다.

3) 퇴사가 아닌 계속 출근을 할 경우 받을 수 있습니다.

> 만약 다음주부터 알바를 그만두게 될 경우 마지막으로 일하는 주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주요하게 알아야할 알바 주휴수당 지급받을 수 있는 조건을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은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계산법은 알고보면 정말 쉽습니다. 간혹 돈을 받는데 왜이렇게 어렵게 만들었냐고 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고용주든 근로자든 양쪽 모두 알아야 하기 때문에 쉽게 설명을 해드리도록 할께요.

예를 들어 1주일 동안 총 20시간 알바를 했고 최저임금 8,350원을 받는다고 가정을 했을 때 주휴수당은 "20시간 ÷ 40 X 8 X 8,350원" 으로 계산을 하면 됩니다. 그러면 주휴수당은 33,400원을 더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추후 알바콜에서는 시급, 주급, 월급 (주휴수당 포함) 계산기를 추가할 예정이니 조금만 기다려 주시면 원클릭에 계산이 가능할 것입니다~!


알바를 하면서 가장 많이 질문을 하는 것 중 하나가 주휴수당 관련 문의 인데요. 간혹 주휴수당을 못받는다던지, 지급 받은 금액이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알아두셔야 할 부부닝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아 적발이 될 경우 고용주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내도록 법이 개정이 되었다는 것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최저시급의 인상으로 물가 또한 덩달아 상승하는 것들도 보여지긴 하지만 더 많은 근로자들은 삶이 좀 더 풍족해 졌다고 합니다. 여러가지 보완할 부분들이 있겠지만 확실하게 법이 자리잡아 나아간다면 근로자나 근로자나 모두 웃을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알바콜에서는 알바 주휴수당 뿐만 아니라 꼭 알아두어야 할 알바상식을 Q&A 형식으로 쉽게 풀어서 알려드리고 있으니 꼭 읽어 보셔서 손해를 보는 일 없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바로면접 알바앱! 알바콜에서 제공하는 알바꿀팁&알바관련서식(이력서, 자기소개서, 학부모동의서) 및 알바 일자리 정보 공유드리니 유용하게 이용바랍니다 :)


알바꿀팁&알바관련서식 무료다운


알바콜 알바구인 확인하기